본문 바로가기

세르비아(Serbia)

094. 해골탑과 적십자 캠핑장

  홀가분한 기분으로 본격적인 니쉬 탐사에 나섰다. 그리고 마치 성당처럼 보이는 작은 건물을 발견했다. 이미 성당은  셀 수도 없이 보아 왔기에 대수롭지않게 지나치는데 Skull Tower라는 표지판을 봤다.

  해골탑이라니? 탑 꼭대기에 해골장식이 되어있나? 그런데 주위에는 도무지 탑으로 보이는건 없었다.

<해골탑 표지. 이런데다 낙서를 해 놓다니>

  해골탑의 정체가 궁금해져서 입장권(130디나라)을 구입했다. 직원은 성당으로 보이던 건물 쪽으로 안내한다. 건물 앞 작은 정원에는 청동 흉상이 하나 서 있었다.

  아하, 세르비아의 장군인가보다! 그러면 해골탑이란건 오스만 제국과 싸워 이겼다는 승전 기념비가 아닐까?

<해골탑 앞에 있던 동상>

  정원을 둘러보고 건물 안으로 들어갔다. 그런데 내부에는 뜻밖의 광경이 펼쳐져 있어다.

  탑이라고 부를 정도는 아니지만 큼직한 시멘트 덩어리에 옥수수마냥 인골을 붙여놓은 것이다. 사방이 이런 모습이다. 원래는 가득 차 있었겠지만, 오랜 세월의 흔적인지 남아있는 인골은 얼마 되지 않았다.(원래 952구였으나 현재는 58구만 남아있다고 한다)

  세상에. 아무리 적이라도 유골로 탑을 쌓다니 역시 세르비아는 잔인한 민족이었구나!

<해골 탑>

  그리고 설명은 더욱 의외였다. 다 세르비아인의 유골이라는 것.

  내용은 이랬다.

  1차 세르비아 반란 중인 1809년 5월, Voivoda Stevan Sindjelic이 지휘하는 반란군은 니쉬를 해방시키기 위해 Cegar 언덕 위에 전개했다.

  그리고 5월 31일.

  수많은 오스만군이 공격해왔다. 오스만군은 금세 수적으로 열세이던 반란군의 진지에 진입했고, Stevan은 상황이 절망적이라 판단한다. 그는 결국 탄약고에 불을 붙였다. 주위의 오스만군과 함께 자폭한 것이다.

  이 전투에서 약 4,000명의 반란군과 거의 10,000명의 오스만군이 죽었다. 하지만 후방의 반란군은 Deligrad라는 곳으로 철수하고 전투력을 보존할 수 있었다.

<당시 배치도, Cegar 언덕에 Stevan의 진지(사각형)가 있고, 후방 두개 부대는 동북쪽으로 철수했다>

  전투가 끝난 후, 오스만군의 지휘관 Hurshid Pasha는 승전 증거로 전사한 반란군의 목을 베고 그 머릿가죽을 벗겨 콘스탄티노플(이스탄불)에 있는 술탄에게 보냈다. 그리고 세르비아에 복수하기 위해, 또 공포심을 주기 위해 가죽이 벗겨진 반란군의 머리를 해골탑(Chele Kula)으로 만들었다.

  이건 바로 오스만군의 만행의 결과였고, 희생자는 세르비아인 것이었다.

  자유를 쟁취하기 위해 중과부적을 무릅쓰고, 심지어는 자폭 공격을 하며 저항한 사람들.

  전투의 경과를 보니 계백장군의 오천 결사대 또는 병자호란 당시 강화도가 함락되자 화약고에 불을 지피고 자결한 김상용의 의기가 떠오르기도 한다.

<반란군의 지휘관 Voivoda Stevan Sindjelic와 그의 유골>

  진내사격이라는 전술이 있다.

  진지를 지키기 위해 아군의 희생을 각오하고 아군 진지위로 화력을 요청하는 것이다. 한국전쟁 당시 수십배나 되는 중공군을 상대로 방어임무를 완수하기 위해 우리 국군 용사들도 사용했던 전술이다. 이런 호국영령들의 희생이 있었기에 오늘날의 대한민국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Stevan이 마지막 선택 역시 일종의 진내사격이었다. 희생을 각오한 이 끈질긴 투쟁의 결과가 세르비아의 독립이었구나.

  정녕 자유라는것은 피를 흘려야만 쟁취할 수 있는 것인가?

<해골탑을 보존하고 있는 성당>

  그런데 세르비아인의 수난은 이게 끝이 아니었다.

  지도를 보니 니쉬 북서쪽에 Red Cross Concentration Camp라는 곳이 있었다.

  적십자 캠핑장이라. 오호, 적십자사에서 운영한다면 무료이거나 매우 저렴하겠지?

  위치와 편의시설을 체크하기 위해 그곳으로 향했다. 그런데 캠핑장의 모습은 의외였다.

<콘크리트 담장과 철문으로 시작된 캠핑장>

  철문으로 들어가 봤다.

<잔디는 좋은데, 어딘가 이상한 분위기>

  철책을 두를 정도면, 야생동물 때문인가?

  주위를 두리번거리니 관리자가 나왔다.

  나 : 하루에 얼마입니까?

  관리자 : 하루? 입장료는 150 디나라. 학생은 130

  나 : 체크아웃 시간은요?

  관리자 : 체크아웃이라니? 여기는 15:00 까지만 열어.

  나 : 오호, 괜찮은데. 한 번 둘러볼게요

  관리자 : 표 사서 들어가야지.

  나 : 체크인 하기전에 시설만 둘러본다니까요. 취사는 아무데나 가능합니까?

  관리자 : 취사? 너 제정신이냐? 여기는 뮤지엄이야. 독일 강제수용소!!!

<철잭과 위병소>

  알고보니 이 곳은 적십자에서 운영하는 캠핑장이 아니라 바로 나치의 강제수용소였다.

  아! 캠핑하겠다고 강제수용소에 달려온 이 어이없는 영어실력을 도대체 어떻게 해야 하나?

<강제수용 접수처? 캠핑은 무슨...>

  이곳은 2차대전이 한창이던 1941년 9월에 설립되었다. 당시는 이미 유고슬라비아 왕국이 추축국에 항복한 이후였다. 원래 이곳은 제16 기병연대가 사용하던 창고였으며, 적십자 강제수용소로 불린 이유는 Red Cross 기차역 앞에 있어서였다.

  강제수용소에 수감된 사람은 나치 저항세력 뿐만 아니라 니쉬에서 명망있던 시민, 민주주의자, 공산주의자, 로터리클럽 회원, 프리메이슨, 성직자, 집시와 유태인 등 다양한 부류로 구성되었다.

<나치의 수용소 설립>

  강제수용소와 Bubanj의 처형장을 설립한 비밀경찰(Gestapo)의 지휘관인 나치 친위대(SS) 대위 Hammer는 당시 체포이유를 아래와 같이 밝히고 있다.

  "너희 폭도들이 고발되고 잡혀온 이유는 군인 100명을 죽였고 50명에게 상해를 입혔기 때문이다. 사실 이건 내가 원한건 아니지만 임무이니 어쩔수 없다. 이제 너희의 운명은 죽거나 다친 독일군처럼 될 것이다."

<12호실. 어쩐지 마굿간처럼 보이더라니. 구 기병기지>

  폭도라는 말로 보아 반 나치 활동이 구금의 명분이었던 것 같다. 그리고 곧 Bubanj에서 처형이 시작되었다.

  당시 나치의 강제수용소 운영과 처형은 특별한 일이 아니었지만 이 수용소의 특이한 점은 집단 탈출사건이 있었다는 것이다.

  수감자 중에는 과거 유고슬라비아군에 복무했던 Vule Vukasinovic와 빨치산(Partisan) 활동을 하던 Branko Bjegovic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이들은 레지스탕스 출신 수감자들을 이끌어 탈출 계획을 세웠다.

<강제수용소 11호실>

  D-day는 1942년 2월 12일.

  다음날 04:00에 처형이 있을거라는 첩보를 입수한 수감자들은, 경비병들이 주로 산책하는 저녁시간을 노려 초병을 공격했다. 탈출이 시작되었고 얼마 후 경비병이 몰려오더니 기관총 사격이 이어졌다. 인접 부대에도 곧 상황이 전파되었다

<강제수용소 방호를 위해 사용된 기관총>

  더 이상 정문으로 탈출할 수 없게 된 수감자들은 철책으로 향했다. 수감생활 중 쇠약해진 수감자들은 맨발로 철책을 가로질러 달렸다. 105명은 탈출에 성공했지만 42명은 수용소 마당과 철책에서 죽었고 독일 경비병도 1명이 사망했다.

  이 대탈출은 당시 나치에 의해 완전히 점령되어 있던 유럽에서 처음 있어난 사건으로, 이 소식은 곧 유럽 각지로 퍼져나갔다. 그리고 나치의 보복이 이어졌다. 1942년 2월 16일~19일, 강제수용소 수감자는 물론이고, 감옥의 죄수와 유태인 등 800명 이상이 Bubanj 처형장에서 총살되었다.

  뻔한 이야기이지만, 탈출이 일어나고 큰 뉴스가 되었으니 아마 강제수용소장의 문책도 있었을 것이고 경비는 더욱 삼엄해졌을 것이다.

<수감자를 위한 독방>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강제수용소에서 두번째 탈출 시도가 있었다.

  같은 해 12월 2일. Milka Protic, Nada Tomic, Vladimir Jovanovic 등의 수감자들은 Vidak Milovic의 지휘하에 탈출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탈출 중에 사살되거나 수색 며칠만에 잡혀서 수용소로 되돌아와야만 했다.

  1차 탈출은 군 경력과 게릴라 경험자들에 의해 조직적으로 이루어졌으나, 2차 탈출은 소규모였고 민간인 위주였다. 그리고 주동자 Vidak Milovic는 놀랍게도 중학생 정도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1, 2차 탈출 주동자들. 좌로부터 Branko와 Vule, 그리고 앳된 얼굴의 Vidak Milovic>

  물론 상황은 달랐겠지만, 비슷한 나이의 안네가 일기쓰고 있을 나이에 그는 수감자를 이끌고 탈출을 시도한 것이다.

<안타까운 담. 저 담만 넘으면 자유인데…….>

  아마 이게 세르비아인의 기질인가 보다. 직접 만난 세르비아인은 편견과 달리 친절하고 좋았지만, 만약 구속과 압박이 있으면 끝까지 싸워 자유를 쟁취하는 의지.

  그게 바로 500년간 오스만 제국에 맞서 독립을 얻어낸 저력이 아니었을까?

  여기까지 봤으니 처형장이 있던 Bubanj를 안가볼 수 없다.

  니쉬 남서쪽에 위치한 Bubanj 언덕은 한때 처형장으로 사용되었으나 지금은 추모공원으로 조성되어 있었다. 세 조형은 굳게 쥔 주먹을 형상화한 것으로 여기에서 처형된 남, 녀와 어린이를 뜻한다고 한다.

<주먹을 말아 쥔듯한 형상. 자유가 아니면 죽음을>

  니쉬 전투의 Stevan과 용사들, 사라예보 사건, 심지어 강제수용소와 처형장까지!

  대한민국 국방부는 한국전쟁 당시 전사하신 호국 영령들의 유해를 찾기 위해 발굴사업도 하고 DNA도 조사하고 있다. 또한 일제 치욕의 상징이던 중앙청(당시 국립중앙박물관)을 폭파시켜버렸다.

  반면 세르비아는 패전의 상징. 천추의 한을 품고 해골탑에 매달린 그들의 영웅을, 이제 묻어드릴 때도 되었는데 그대로 보존하고있다. 강제수용소는 물론이고 나토(NATO) 폭격으로 파괴된 국방성 건물도 마찬가지.

<처형 장면을 형상화한 부조. 피카소의 작품같은 느낌>

  이 자존심 강한 세르비아인들이 그걸 보면서 무슨 생각을 할까? 단지 역사적 유물이므로 보존해 둔 것은 아닐테고, 가끔씩 희생을 기리며 자유로운 현재에 만족하고 있을까? 아니면 거대한 주먹 아래에서, 또 해골 아래에서 칼을 갈고 있다는 느낌은 나만의 착각일까?

  세르비아, 무지 복잡한 역사를 가진 나라이지만 어딘가 모를 안타까움과 동질감까지도 느껴지는 나라이다.

<나치 처형장 Bubanj의 조형은 끌려가는 사람 같기도 하다>

  잠시 스쳐 지나가는 나로서는 도무지 세르비아의 아픔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겠지만, 해 지는 Bubanj언덕에서 해골탑에서 본 글을 다시 떠올려본다.

  내 마음대로 대충 해본 번역.(캠핑하러 강제수용소에 가는 실력으로, 발로 한 번역)


해골탑

Lamartine(프랑스 시인)


니쉬 근처에 도착했다. 햇볕은 타는 듯 뜨겁다.

니쉬 바로 1마일 앞 들판 가운데

성당의 대리석처럼 빛나는 흰 탑을 보았고, 길은 나를 탑으로 이끌었다.

탑으로 다가가 그 그늘에서

낮잠을 청하려 주저앉았다

그때, 

눈에 들어온 흰 대리석 같은 벽

사람의 두개골을 열한겹으로 차곡차곡 쌓은 그것

피부는 벗겨졌고 햇빛과 빗물에 하얗게 바랜 해골.

석회에 매달려서까지 그늘을 만들어주는구나.

그 중 일부는, 이끼처럼 보이는 짧은 머리가 남아 바람에 흩날리고 있었다.


산에서 불어온 거센 바람은

얼굴, 머리, 두개골의 수많은 구멍을 파고들며

슬픈, 고통스러운, 애처로운 소리를 만들어낸다.

저것은 세르비아의 자유를 위해

마지막 싸움에서 목숨을 버린

세르비아인의 흔적이라 한다.


눈과 마음으로 그 용사들의 모습을 바라본다.

잘린 머리로 조국 독립의 주춧돌을 쌓았구나.

<많이 떨어져 나가고 이제 얼마남지 않은 유골>

  프랑스 시인 Lamartine의 원문. 번역과 비슷한가?

 I came to the plain near Nis. The sun was scorching. One mile before the city I saw a wide white tower rising in the midst of the plain, glittering as a parish marble. The path led me to it. I came closer, sat down in its shade to take a rest and have some sleep. As soon as I sat down, I looked up towards the monument and saw that its walls, which had seemed to me as if made of marble or of a white stone, were made of human skulls, arranged in even layers. These skulls and these human faces, skinned off and whitened with rain and sun, glued with a bit of sand and lime, formed an arc that protected me from sun. On some of them what little hair remained, was fluttering in the wind like a lichen or a moss.

 Strong and fresh wind blowing from the mountain, penetrated the many cavities in the heads, faces and skulls, making a sad and pained whining sound. I was told that those were the skulls of the serbs killed in the last uprising for the freedem of serbia.

 My eyes and my heart greeted the remains of those breave men, whose cut off heads made the corner stone of the independence of their homeland.

<아마 Lamartine이 보았을 해골탑의 옛 모습>

  다음글 ☞ 095. 콘스탄티누스 대제의 고향 니쉬